개발공부블로그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개발공부블로그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21)
    • 개발공부 (21)
      • JavaScript (9)
      • EcmaScript6 (3)
      • Node.js (0)
      • C (3)
      • JSP Servlet (3)
      • Java (0)
      • OS (2)
      • SQL (0)
      • HTML CSS (1)
      • HTTP (0)

검색 레이어

개발공부블로그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개발공부/EcmaScript6

  • [EcmaScript6] ArrorFunction과 prototype

    2019.09.11 by 임우찬

  • [EcmaScript6] 템플릿 문자열, 객체 리터럴, 디스트럭쳐링

    2019.09.11 by 임우찬

  • [EcmaScript6] let, const

    2019.09.11 by 임우찬

[EcmaScript6] ArrorFunction과 prototype

1.Arrow Function ​ 우선, ES5의 함수 사용법이다. var hello = function(x){ return x*2; } 그리고 ES6의 ArrowFunction 사용예시이다. const hello = (x) => { return x*10; } 매개변수가 1개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소괄호를 생략 가능하다. const hello = x =>{ return x*10 } 또한, 함수가 한 줄로 표현 가능하다면, 중괄호 생략이 가능하고, 자동으로 리턴된다. 이는 매개변수가 두 개 이상일때도 같다. const hello = x => x * 10 const hi = (x,y) => x * y 매개변수가 없을 경으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. () =>{ .... } 이 arrow function은 콜백..

개발공부/EcmaScript6 2019. 9. 11. 11:11

[EcmaScript6] 템플릿 문자열, 객체 리터럴, 디스트럭쳐링

1. 템플릿 문자열(template string) ​ - 우리가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열 여러 개를 합칠 때는 다음과 같은 방식을 사용한다. var a = 2019; var b = 8; var c = { d : '8', }; var string = '오늘은'+a+'년'+b+'월'+c.d+'일'+'입니다.'; - 따옴표가 많고, + 도 많은데 띄워쓰기도 계속해서 신경써야 하기에 매우 불편하다. - 템플릿 문자열은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. let a = 2019; let b = 8; let c = { d:'8', }; const string = `오늘은 ${a}년 ${b}월 ${c.d}일 입니다.`; - `(백틱)으로 감싸주고 변수는 ${}에 넣어주는 형태로 사용한다. - 이렇게 된다면 공백과 따옴표가 그대로 ..

개발공부/EcmaScript6 2019. 9. 11. 11:09

[EcmaScript6] let, const

1. "use strict" 란? ​ - Strict Mode의 선언방식이다. - Strict Mode란, 코드에 더 나은 오류검사를 적용하는 방법이다. - js 파일 첫 출에 "use strict"를 작성한다. 두 번째 줄에 debugger 키워들을 작성해준다. - "use strict"를 작성한 이유는 class 오브젝트와 같은 일부 오브젝트는 strict 모드에서 실행이 기본이기 때문이다. - debugger 키워드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고 바로 소스코드를 라인 단위로 디버깅 할 수 있어 편리하다. ​ 2. 글로벌 변수와 로컬 변수 ​ - 크게 변수를 로컬변수(local variable)와 글로벌 변수(global variable)로 구분한다. - 변수를 구분하는 이유는 "스코프(scope)" ..

개발공부/EcmaScript6 2019. 9. 11. 11:08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
다음
TISTORY
개발공부블로그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